본문 바로가기
대충 잘 살기

정처기 #1 -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공부법/ 합격 후기(문과)

by 고구마고래 2024. 7. 28.
반응형

정처기 #1

2024년 3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공부법/ 합격 후기(문과)


2024년 7월

 

 

CS 지식이 너무 부족하다 싶어 이번 방학에 따고자 마음먹은 정보처리기사.

먼저 며칠 전에 본 필기는 가채점 평균 75점으로 무난히 합격했다.

기사 시험은 1년에 3회이고 컴활처럼 여러 법 접수하지도 못하기 때문에 굉장히 떨렸다.

 

기사 필기는 컴퓨터로 시험을 친다. 휴대폰은 따로 모으고 소지품은 다 앞쪽으로 내도록 한다.

가보면 여러 기사를 치는 사람들이 시험을 치러 온다. 내 옆은 토목기사였당.

 

정보처리기사는 이렇게 총 5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더 자세한 시험 정보는 큐넷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320

 

과목 구분 없이 150분 시간을 제공하지만 150분 다 쓸 일은 거의 없을 것 같다.

안 푼 문제도 따로 모아서 풀게 해주는 좋은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더 좋은 점은 시험을 종료하자마자 가채점 결과를 보여준다는 것. ㅎㅎ

 

 

거의 개념 외우기라서 공부에는 총 일주일 정도를 쓴 것 같다.

 

1.

가장 먼저 했던 것은 정보처리기사 개념 영상 보기.

이기적 영진닷컴 정처기 필기 절대족보 영상을 봤다.

영상이 8개뿐이라 배속으로 들으며 기본 개념 다지기에 썼다.

중요한 부분과 헷갈릴 것 같은 부분은 필기하며 들었다.

 

 

2.

그리고 공부기간 동안 총 5회차의 모의고사를 풀었다.

이런 문제은행식 시험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게 CBT 사이트.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그런데 2022년 3월, 4월 회차 뿐이어서 21-22 랜덤 모의고사 1회, 2022년 회차 2개를 풀었다.

그리고 틀린 문제로 만들어주는 인공지능 모의고사를 2회 풀었다.

오답노트는 중복되는 문제까지 모두 했고 이걸 나중에 다시 정리해서 마지막 노트로 사용했다.

 

내 생각에 난이도가 꽤 달라진 것 같은데 아쉬운 건 2023년 최신 기출이 없었다는 것.

저번 컴활 때도 느꼈지만 출제 경향이나 난이도 조절이 있어서 최신인 게 제일 중요하다.

그래서 모의고사를 그렇게 많이 풀지 않았다.

 

 

3.

아무래도 2022년까지의 기출로는 절대 해결되지 않으리란 생각이 들어서 아래 영상들을 봤다.

옛날 느낌이 나긴 하지만 그나마 최신 기출들이 좀 섞여 있고 전반적으로 도움되는 것들.

 

본 영상

1. 시나공 2024 정처기 기출 플레이리스트

: 플레이리스트에 영상이 122개로 많지만 중복되는 문제들이 많아서 금방 볼 수 있음

  설명을 쉽게 해주는 편이라서 이해하기 좋았음!

  마지막까지 안 되는 문제들을 체크하며 보았던 영상.

 

2. 해커스 정처기 최다빈출 75문제

: 그나마 2023 기출이 들어 있어서 좀 집중적으로 봤음

  자기 전에도 보고 배속으로 여러 번 들었다!

 

3. 해커스 정처기 필수용어 반복듣기

: 요거는 필수는 아닌 것 같다.

  그래도 처음 공부할 때는 용어 낯선 게 힘들기 때문에 한번 정도는 보면 좋을 것 같음

 

4.

내가 느끼기에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기출문제 문제은행> 어플이다.

아침에 10문제, 자기 전 10문제를 풀고 그냥 짬날 때마다도 계속 한 문제씩 풀었다.

댓글에 있는 수험생들이 직접 쓴 풀이들이 외우기에도 이해하기에도 제일 좋았던 것 같다.

 

2과목(소프트웨어 개발)과 4과목(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이 가장 어렵게 느껴져서 애를 먹었는데...

과락이 8문제(40점)인 것이 다행이다. 평균은 다른 과목에서 챙기면 되니까...

이거는 4과목 중에 기억에 남았던 어려운 문제였다.

후위 전위 연산자도 어려웠지만 변수에 여러 값을 할당하는 걸 처음 봐서 당황했었다.

 

시험 도중에 컴퓨터가 냅다 꺼져버리는 사고도 있었는데 잘 마무리했다.

그냥 감독관에게 말하니 여기저기 전화하더니 자리를 옮길 수 있게 됐다.

필기 치고 나면 실기 자격서류 제출하는 것도 잊지 말기~

그럼 올해 실기까지 한 번에 가보자! 여러분도 파이팅!

 

 

반응형

댓글